함께하는 나눔, 지금 시작하세요지금 후원하기
메인 로고 on   헤더 검색 버튼
[서울신문] 올겨울 춥다는데… 연탄 부족에 취약층 겨울나기 깊은 시름
  • 게시판 작성일 아이콘2024.10.25
  • 게시판 조회수 아이콘조회수 369

올겨울 춥다는데연탄 부족에 취약층 겨울나기 깊은 시름

2024. 10. 25 / 서울신문 / 설정욱기자


전국 연탄 사용 가구 74167

연탄은행 확보 물량 예년의 14%

후원 줄고 연탄값 올라 난방 걱정





최근 극심한 경기 침체 여파로 어려운 이웃들에 대한 후원의 손길이 뚝 끊겼다. 올겨울 역대급 한파가 예고됐지만 취약계층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돕는 밥상공동체 연탄은행의 창고가 예년의 7분의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빈곤층의 힘겨운 겨울나기가 우려된다.

 

24일 연탄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연탄 사용 가구는 총 74167곳에 달한다. 지난 200627만여 가구를 정점으로 매년 감소 추세다. 하지만 난방비 상승과 공공요금 인상, 고령층 증가 등으로 서울과 대구, 충북, 제주 등의 연탄 사용 가구는 2년 전보다 증가했다. 산지가 많은 강원과 경북은 여전히 1~2만여 가구가 연탄을 주된 난방수단으로 쓴다연탄 사용 가구는 가파른 오르막 골목에 있는 독거노인 주거지에 대부분 몰려 있다. 주민들 대부분 어렵게 사는 데다 무거운 연탄을 옮길 여력조차 없어 연탄은행과 봉사단체의 도움 없이는 난방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에 연탄은행은 개인과 기업 후원을 받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취약계층에 연탄을 배달해 준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6279818장의 연탄을 전달했다. 연탄배달이 시작되는 10월에만 평균 77333장을 후원받아 배달을 완료했다. 그러나 올해는 중순까지 확보한 연탄 재고가 단 11200장에 불과하다.

 

전북의 경우 전주연탄은행이 2022년까지 매년 45만여장의 연탄을 배달했다. 그러나 지난해 42만장으로 줄더니 올해는 후원 문의조차 뜸하다. 이에 이달 초 연탄배달에 돌입했던 예년과 달리 올해는 19일에 첫 연탄배달 봉사를 했다첫발은 뗐지만 이후 일정은 기약이 없다. 올해는 후원이 거의 없어 창고가 텅텅 비어서다. 지역 기업들을 통해 알음알음 확보한 후원금으로 주말에만 연탄배달이 가능할 거라는 게 연탄은행의 판단이다.

 

후원은 줄지만 연탄 가격은 치솟고 수급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2007년 장당 350원에서 현재 1000원까지 3배 가까이 올랐다. 서울에선 유일한 연탄공장이었던 이문동 삼천리 공장이 문 닫으면서 연탄 확보도 쉽지 않다. 매번 경기 동두천시나 충남북에서 가져와야 한다. 연탄 사용 가구가 가장 많은 경북 역시 공장이 경주시에 한 곳뿐이다. 물류비와 인건비 등을 고려하면 실제 구매할 수 있는 연탄 개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허기복 연탄은행 대표는 연탄 사용 가구가 줄었다지만 여전히 연탄에 의존하는 이웃이 많고, 가구당 매달 150장은 필요하다지정 기탁이나 후원금, 배달 봉사활동 등 시민들의 사랑 나눔이 에너지 취약계층에는 큰 힘이 되는 만큼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만 14세 미만
만 14세 미만